본문 바로가기

일상의기록

궁핍은 절약을 만든다. 0원짜리 통장

반응형

궁핍은 절약을 만든다.

오늘 이야기는 궁핍이네요. 문득 들여다본. 카카오 뱅크 계좌. 헉! 남은 잔돈이 4천 원이네요 ㅎ

이것도 절약의 전략이라면 전략이죠. 물론 카드를 사용하긴 하지만 항상 어느 정도 현금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요. 월급을 받으면 항상 쓸 수 있는 돈, 여유자금으로 카카오 뱅크에 10만 원 이하로 유지하고 있답니다. 이번 달은 아직 월급날이 2주가량 남았는데. 이런 ...4천 원이네요.

현금을 쓸 일이 잘 없다지만. 직장 동료들끼리 점심을 먹을 때면. 항상 놔눠 내야 하는데 이때는 현금이 필요로 하거든요. 이번처럼 궁핍해져 있는 계좌를 보면, 나도 모르게 외식을 줄이고 절약을 하게 되는 마법!

너무 궁상맞은 짓 같아 보이지만. 이것 역시 강제 절약을 하게 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저축, 투자 우선, 소비는 가장 마지막.

저축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 돈을 아껴 쓰는 사람들은 가장 먼저 저축과 투자에 우선순위를 두고 월급이 입금되면 자신이 목표하는 금액을 빼버려 야 합니다. 소비하고 남는 돈은 저축하자는 생각은 가장 비효율적인 방법이고요. 앞서 이야기했듯 평소 사용할 10만 원을 남겨두고 나머지 금액은 월급통장에 남아있어서는 안됩니다.

0원이 되어야 하죠. 돈에는 목적이 있어야 하고 돈은 최대한 머무르지 않게 일을 시켜야죠 .

돈의 목적이 저축이라면 가장 금리가 높은 적금, 예금으로. 투자가 목적이라면 투자처에 있어야 하고요. 남아서 할일없이 월급통장에 묶여 있는 돈은 0원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겠네요. 한 달간 쓸 수 있는 최소한 소비력만 남기고. 모조리 목적에 맞게 배분해 버리면 지금 당장은 별반 차이가 없겠지만. 훗날 시간이 지나면 어느덧 불어있는 내 자산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월급을 분산했다면 목에 칼이 들어와도

재분배 금지.

이렇게 0원통장을 만들어 놓고도 가장 실수 많이 하는것중 하나는 다시 목적에 놔눠진 돈을 너무 쉽게 재분배 해버리는 습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월급통장 분할 전에 치밀하게 한달치 자금 계획을 잘 새워야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죠 . 한번 분산한 통장은 악착같이 지켜야합니다. 실수로 이번달 생각지 못한 돈을 더 썻다고해서 쉽게 다른 목적의 돈을 빼서 매우는 습관은 지양해야 하구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