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기록

초보도 할 수 있는 잃지않는 주식

반응형

주린이 투자 수익 3명 중 2명꼴 마이너스.



주린이가 주린이에게 전하는 주식투자 이야기입니다.  지난 뉴스를 보니 주린이 투자 수익이 3명 중 2명꼴로 마이너스라는 기사가 있어 가져와 봤는데. 나와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한번 비교해보며

정보를 전달해들리게요.

우선 저의 주식경력은 약 9개월이네요.  현재 수익률은 25~30%입니다.
작년 주식장이 좋았기 때문에 저와 같이 들어온 분들 중에는 저보다 많은 수익이 났을 분도 있을 거고 적은 분들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주제에서 보듯 손실은 면하는 방법에 대해서 손실 난 분과 저의 투자 패턴을 비교해 보고자 합니다.

우선 기사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해 3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시장에 신규 투자자의 62% 3명 중 2명이 손실 본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규 투자자의 누적수익률은 5.9% , 기존 투자자들은 18.8% . 거래세 수수료 빼면 결국 -1.2% 손실이란 것입니다.

여기서 핵심은 5.9%의 수익이 났음에도 거래세를 빼면 -1.2%라는 것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그만큼 사고파는 걸 자주 해 거래세가 상당히 발생했다는 반증입니다.

이 부분은 누누이 강조하고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전문가들 역시 단타, 시간 투자는 하지 말라고 그렇게 조언했음에도 우리 주린 이들은 이를 역행하고. 결국. 많이 사고팔았다는 뜻이다. 기업에 투자한 것이 아니라 시간을 샀다는 이야기입니다.  대부분 신규 투자자들은 안정한 자산을 찾아 투자했으리라 생각한다. 물론 변동성이 큰 테마주를 알고도 투자한 사람들을 제외하고 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수요 율이 수익률 5.9%를 상쇄 시켜버렸다는 것은 그만큼 거래를 많이 했다는 증거가 되겠습니다.

기업의 펀더멘털을 보고 투자했다면 이를 믿고 최소한 분기 최대는 연간 총액은 보고 매매했어야 했어야 하지 않을까요.  여기서 저와 손실된 분들의 차이가 있습니다. 투자는 기업과 함께하는 것. 기업의 펀더멘털 분석과  자본 구조분석, 생산 대비 수익 등의 지표를 보고 매도 매수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기사를 조금 더 보자면
주린이들은 대형주를 순 매수해, 10% 이상의  수익을 냈다. 이미 검증이 끝난 대형주 투자는 역시 안정적인 수익 투자로써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저 역시 대형주 위주로 코스피 10위 종목만 보유하고 있고. 신규상장 IPO로 받은 주식만 보유 중에 있습니다. 이런 대형주들이 가격이 높기 때문에 진입이 쉽지는 않습니다. 액면분할 등으로 인해 삼성전자와 같은
저렴한 가격에 구입 가능한 주식도 있지만 적게는 30만 원 ~ 100만 원 육박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죠. 이런 주당 가격이 높은 주식은 사긴 힘들지만 그만큼 경쟁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기업만큼 검증이 끝난 회사들도 없는 만큼 평균 대비 하향하고 있을 때 사 모으는 것은 언제나 옳습니다.
문제는 좋은 주식일수록 오래가지고 있으란 겁니다. 가격 좀 오르거나. 내린다고 바로 팔아버리지 말고요 ^^ 그리고 3번째로 3종목 이하를 보유한 투자자들의 비중이 주린이 73%에 달한다는 겁니다.
물론 주린이 입장에서는 3종목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종목을 분산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는 겁니다. 저는 초기 2개월간은 반도체 기업만 가지고 있다가. 2달째 되는 달에 2차 전지 기업 구매했고. 3~4달쯤 되던 때에 IT기업을 매수했습니다. 그렇게 6개월 3종목으로 관리하다가
올 초에 자동차 기업에 조금 넣었고요. 올 하반기 BIO 분야 상장기업에 주식을 들고 있습니다.
지금은 총 5종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종목에 대한 분산투자도 중요하지만 서로 다른 업계의 기업에 투자함으로써 서로 손실과 상승분을 보전할 수 있는 포트를 구성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그렇다고 너무 많은 종목을 선택하면 투자한 기업의 종목분석에 집중할 수 없으니. 5~10종목 안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투자에 정답이 있겠냐마는 주린이들은 그만큼 공부를 해야하고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여유가 없는 투자만큼 힘든 투자는 없거든요 .
시간을 무기삼아 . 진득허니 . 투자하고 . 여러종목을 분산해. 손실을 방어할수있는 포트구성하기 . 잊지마세요 ^^

반응형